티벳불교 귀의와 발심 게송 1: 티벳어 '쌍게(སངས་རྒྱས།, 붓다)'의 의미....

 
티벳불교 제1강: 귀의와 발심 강의 내용

안녕하세요?

()한국불교법륜종 법륜불교대학, 20241 학기, 티벳불교 강의를 맡은 원명입니다.

지난 20231학기 강의에서는 '밀교의 수행 체계'라는 제목으로 티벳불교 가운데 탄트라의 수행차제인, 생기차제와 원만차제를 '비밀집회 탄트라'를 기반으로 해서 설명을 드렸습니다.

지난 학기에 티벳불교 가운데 밀교 부분에 대해서 강의를 하게 된 동기와 목적은 많은 분들이 티벳밀교의 수행을 좌도밀교로 잘못 이해를 하고 있고, 또 단지 호기심에서 수행을 시작하시는 분들이 많이 계셔서, 이러한 분들께 티벳밀교, 즉 탄트라의 수행은 석가모니 부처님의 가르침을 따라 상구보리 하화중생하는 보리심의 마음이 기반이 되어야 한다는 점을 설명 드렸고요.

그런의미에서.... 강의를 시작하면서 티벳어로 된 '귀의와 발심' 기도문을 먼저 다같이 염송을 하고 강의를 시작 했는데요.

이 기도문에 대해서 차후에 설명을 드린다고 했었는데, 한 해가 지난, 20241학기, 이제서야 설명을 드리게 되었습니다.

이번 강의 에서는  인도 다람살라의 티벳문헌보관소( LTWA)를 소개드리고,  귀의와 발심 게송에서 '쌍게 최당 촉끼 촉남라' 부분에서 특히  티벳어 '쌍게(སངས་རྒྱས།) '부처'의 의미에 대해서 설명 드리겠습니다. 

티벳어 쌍게의 의미

* 유튜브 강의로 듣기

티벳불교: 귀의와 발심

_()_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