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수경 강의 1. 천수관음은 왜 천 개의 손과 눈을 가졌을까?

천수경의 이해와 실천 제1강 주제 및 내용

1. 천수경이란?

천수경은 **“천수천안 관세음보살 광대원만 무애대비심 대다라니경”**의 줄임말입니다.
경전의 이름이 조금 길지만, 다섯 구절로 나누어 보면 의미가 명확해집니다.

1) 천수천안 – 천 개의 손과 천 개의 눈
2) 관세음보살 – 중생의 고통 소리를 듣고 도와주는 대자비의 보살
3) 광대원만 – 크고, 넓고, 원만한
4) 무애대비심 – 걸림 없고 막힘 없는 자비심
4) 대다라니경 – 위대한 진언의 경전

즉, 천수경이란?
‘무한한 손과 눈을 지닌 관세음보살께서,
장애 없는 대자비심으로 설하신 위대한 다라니의 경전’
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2. 왜 천 개의 손과 눈일까요?

불교에는 현교밀교라는 두 가지 가르침이 있습니다.
현교는 숨김없이 가르침을 드러내는 길이고,
밀교는 철저한 준비가 된 수행자에게만 전해지는 금강승의 수행법이죠.

밀교에서는 부처님의 모습을 1면 2수뿐 아니라, 3면 8수, 11면 8수, 1000수 등의 모습으로 다양하게 표현합니다.

왜일까요? 생각해 보세요!

김장을 하려고 하는데, 손이 4개면 얼마나 편할까요?
앞, 옆, 뒤까지 볼 수 있는 눈이 있다면 얼마나 많은 일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을까요?
천 개의 손과 눈은 더 많은 중생을 돌보고, 더 많은 고통을 어루만지기 위한 관세음보살님의 지혜와 자비심의 상징입니다.


3. 천수의 손에는 왜 여러 지물을 들고 있을까요?

손마다 금강저, 보겸, 여의주, 견삭, 요령 등 각기 다른 지물을 들고 있습니다.
이는 중생의 다양한 고통을 다양한 방편으로 구제하시기 위한 것이며,
때로는 온화하게, 때로는 단호하게 중생을 이끄는 자비와 방편의 표현입니다. 
심지어 표정도 온화함만이 아닌, 분노의 얼굴로 엄한 사랑을 표현하시기도 합니다.


4. 관세음보살의 원력

관세음보살은 이렇게 발원하셨습니다.

“저는 고통받는 모든 중생을 안락하게 하고,
그들의 소원을 이뤄주고 싶습니다.
그러나 제 두 손, 두 눈만으로는 부족하오니,
천 개의 손과 눈을 주시옵소서.”

그 원력으로 천수천안관세음보살이 되셨고, 오늘날 우리가 천수경을 통해 그 자비를 체험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5. 천수관음과 육관음

육관음은 관세음보살의 다양한 모습과 역할을 표현한 여섯 화신입니다:

1) 성관음: 연꽃이나 감로병을 들고 자비로 중생을 제도
2) 천수관음: 천 개의 손과 눈으로 자비를 실천
3) 마두관음: 말의 머리를 얹은 분노의 모습으로 악을 제거
4) 십일면관음: 11개의 얼굴로 모든 방향의 중생을 살핌
5) 준제관음: 77억 부처를 성불시킨 ‘부처님의 어머니’
6) 여의륜관음: 여의주와 법륜으로 중생의 소원을 성취

천수경의 이해와 실천 제 1강은 여기까지입니다.
더욱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강의 영상을 시청해 주세요

천수경 속 관세음보살의 비밀, 왜 천 개의 손과 눈을 가졌을까?
(재)한국불교법륜종 도솔산 보광사 법회/행사 실시간 방송

_()_

댓글 쓰기